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편] 냉장고보다 먼저 정리해야 할 것 — 집 안의 음식 말고 말버릇

by 아이들맘 2025. 7. 3.


“살 좀 빼야지!”, “그만 먹어!” 혹시 이런 말을 자주 하시나요? 우리 아이의 식습관을 좌우하는 것은 냉장고 속 음식만이 아닙니다. 부모의 말 한마디가 아이의 식습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편에서 청소년 비만의 시작 신호와 감정적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 2편에서는 우리 집 식생활 환경과 부모의 말버릇이 아이의 건강한 성장에 얼마나 중요한지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목차
  1. 부모의 말 한마디가 아이의 식습관을 좌우한다
  2. “그만 먹어!” 대신 “기분이 어때?”로 바꾸기
  3. 체크리스트: 우리 집 식생활 환경 점검표
  4. 다음 편 미리 보기

 

1. 부모의 말 한마디가 아이의 식습관을 좌우한다

"도대체 얼마나 먹는 거야?", "그렇게 먹으니 살이 찌지!", "밥 먹고 또 뭘 먹어!"

이런 말들이 익숙하신가요? 아이를 염려하는 마음에서 나오는 말들이겠지만, 때로는 아이에게 독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외모나 체중에 대한 직접적인 지적은 아이의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오히려 강박적인 식사 행동이나 감정적인 과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 소아과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의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체중에 대한 부정적인 언급은 아동 및 청소년의 식이 장애 위험을 높이고 신체 이미지에 대한 불만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아이들은 부모의 말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고 세상을 배웁니다. 음식과 관련된 부모의 부정적인 말은 아이에게 죄책감, 수치심, 불안감을 심어줄 수 있으며, 이는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음식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악순환을 만들 수 있습니다.

 


2. “그만 먹어!” 대신 “기분이 어때?”로 바꾸기

아이의 식습관을 건강하게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시나 통제 대신 공감과 이해를 기반으로 한 대화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음식을 과하게 찾는다면, 단순히 “그만 먹어!”라고 제지하기보다 그 이면의 감정을 들여다보는 질문을 던져보세요.

  • "요즘 스트레스받는 일 있어?"
  • "오늘 학교에서 무슨 일 있었니?"
  • "혹시 지금 마음이 좀 불안하니?"
  • "기분이 어때서 음식을 먹고 싶어졌어?"

이러한 질문들은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도록 돕습니다. 음식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감정을 해소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죠. 부모가 감정에 공감하고 이해하려는 태도를 보일 때, 아이는 비로소 마음의 문을 열고 건강한 변화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최근 국내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연구에서는 정서적 지지와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 및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려는 부모의 노력은 단순한 식습관 교정을 넘어 아이의 전반적인 정서 발달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3. 체크리스트: 우리 집 식생활 환경 점검표

우리 집의 식생활 환경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점검해 볼 시간입니다. 아래 질문들을 통해 우리 가족의 식사 문화와 대화 방식을 돌아보세요.

 

식사 시간:

ㅡ 가족이 함께 식사하는 시간이 일주일에 몇 번이나 되나요?

ㅡ 식사 시간에 TV나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고 있나요?

ㅡ 식탁에서 음식에 대한 이야기 외에 다양한 대화를 나누나요?


음식 선택:

ㅡ 집에 가공식품이나 단 음료보다 신선한 채소, 과일, 통곡물이 충분히 있나요?

ㅡ 아이 스스로 건강한 음식을 선택할 기회를 충분히 주나요?

ㅡ 특정 음식을 '나쁜 음식'으로 낙인찍고 있지는 않나요?


부모의 말:

ㅡ 아이의 체중이나 외모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거나 지적하는 경우가 있나요?

ㅡ 아이가 음식을 과하게 먹을 때, 감정을 묻기보다 바로 제지하나요?

ㅡ 식사 중 “빨리 먹어라”, “남기지 마라”와 같은 강요하는 말을 자주 하나요?


스트레스 관리:

ㅡ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음식 외에 다른 활동으로 해소하도록 돕나요?

ㅡ 부모 스스로 스트레스를 음식으로 풀고 있지는 않나요? (아이에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체크리스트를 통해 개선할 점을 발견했다면, 작은 것부터 하나씩 바꿔나가 보세요.

변화는 갑자기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노력으로 만들어집니다.


4. 다음 편 미리 보기

다음 3편에서는 "살 좀 빼"는 해결이 아니다 — 자존감과 움직임이 해답이다라는 제목으로, 청소년 비만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 기반 과식을 막는 실천 루틴, 그리고 가족이 함께 즐겁게 몸을 움직이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아이의 건강한 식습관은 단순히 무엇을 먹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아이가 어떤 환경에서 어떤 마음으로 음식을 대하느냐의 문제입니다.

부모의 따뜻한 말 한마디와 건강한 식사 분위기가 우리 아이의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지켜줄 것입니다.

우리 아이의 식습관, 혹시 부모님의 말버릇이 영향을 주고 있지는 않나요?